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알뜰폰의 단점은? (알뜰폰이란, 알뜰폰추천)

by 오곡선생 2023. 2. 21.

 

요즘 경기 침체로 소비심리가 위축되면서 통신비를 절약하기 위해 알뜰폰 가입자 수가 늘고 있습니다. 

기존 통신 3사 (kt, skt, u+)의 요금보다 많이 저렴한 알뜰폰의 장점은 많은 곳에서 소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알뜰폰의 단점을 알려주는 곳은 잘 없더라고요.

그래서 오늘은 알뜰폰의 단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알뜰폰이란?

 알뜰폰의 정식 명칭은 가상 이동 통신망 사업자(mvno)지만 가격이 저렴한 이유로 알뜰폰이라고 대중적으로 불린다. 

2010년 이명박 정부에서 과점 시장인 통신망 시장의 경쟁을 촉진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가입자수는 2022년 8월 이후 약 1200만 명을 넘겼다.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최근에 가입자수가 급속하게 늘고 있다.

단적인 예로 skt의 T플랜 세이브 요금제의 경우 3G에 기본요금 33,000원이지만 티플레이터 우체국 요금제의 경우 6G에 6000이기 때문에 가격과 데이터 면에서 알뜰폰을 쓰는 것이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 

 최근 알뜰폰 업체 사이에서도 가격 경쟁이 붙어 0원 요금제, 무제한 요금제 등 저렴한 요금제가 많이 나오고 있으니 비교를 통해 합리적인 소비 하기를 바란다. 

 

 

 

 

2. 알뜰폰의 단점 

 

1) 위치추적이 어렵다

 알뜰폰의 단점 중 가장 많이 언급되는 것이 위치추적이 어렵다는 것이다. 개인정보보호법 때문에 통신 3사의 경우 관련법이 이미 마련되어 있어서 긴급 상황 시 경찰 등에서 긴급으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알뜰폰의 경우 개인정보와 관련된 법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서 위기 상황시 위치를 추적하려고 하여도 내부 협조가 필요한데 24시간 동안 운영되는 대기조도 없기 때문에 긴급한 상황에 즉시 대처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어린 자녀를 두고 있는 부모님들은 이 점을 유의하시고 가입하시길 바란다. 

 

 

2) 셀프개통 해야 한다. 

 젊은 사람들은 알뜰폰 개통을 할 때 컴퓨터를 이용해 가격비교도 해 가면서 자신에게 유리한 요금제로 개통할 것이다. 특히 셀프개통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 부분을 장점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고령층의 경우 인터넷을 이용해 다양한 정보를 얻는 것이 상대적으로 서투르고 요금제 종류도 많아서 누가 알려주지 않는 이상 너무 많은 정보로 요금제를 선택하는 것 까지도 어려울 수 있다. 

또 대부분 셀프개통을 하기 때문에 직접 유심을 사서 폰에 유심을 끼워 넣고 컴퓨터로 직접 개통신청을 해야 하는 과정이 상당히 번거로울 수 있다. 

 

 

3) 통신사 결합 해택을 받기 어렵다

통신 3사의 경우 가족결합으로 묶여있을 때 인터넷 무료사용이라는 해택을 주고 있다. 내가 사용하고 있는 skt의 경우에는 4명 이상 묶였을 때 인터넷 공짜이고 3명일 때 13000원 2명일 때 26000원으로 결합이 풀릴수록 가격이 높아진다. 

보통 인터넷을 대리점이나 본사를 통해 연결하면 인터넷 요금으로만 월 33000원 (500기가 기준)을 내야 하기 때문에 결합해택을 누리고 싶다면 기존의 통신사를 유지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하지만 인터넷 속도를 100기가로 낮추거나 알뜰폰 중에서도 통신사 해택을 받을 수 있는 알뜰폰이 분명히 있기 때문에 그것을 잘 찾아본다면 결합해택도 누리면서 알뜰폰도 저렴하게 사용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4) 멤버십 혜택을 받을 수 없다. 

통신 3사에서는 멤버십 혜택을 주고 있다. skt T멤버십의 경우 제휴 음식점과 카페에서 최대 30% 할인, 쇼핑 최대 20% 할인, T-day, VIP 등 일상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여러 혜택을 홍보하고 있다. 

높은 요금제를 써서 VIP고객이 된다면 각 통신사마다 상이하겠지만 영화를 무료로 보는 등 좋은 서비스가 있을 수 있겠지만 만약 낮은 요금제를 쓰고 자신이 포인트와 멤버십을 잘 활용하지 않는 스타일이라면 요금이 저렴한 알뜰폰이 훨씬 유리하겠다는 생각이 든다.  사실 나는 SKT의 12년째 회원이지만 멤버십을 잘 이용하지도 않을뿐더러 크게 혜택을 받은 것이 없다. 

 

 

3. 결론

 어린아이를 키우고 있어 아이의 안전이 걱정되거나, 많은 알뜰폰 상품의 요금제 비교를 하기 귀찮거나,  컴퓨터를 잘 다루지 못하여 셀프개통을 잘 못하겠거나, 가족 결합으로 인터넷 무료 혜택을 계속 누리고 싶거나, 멤버십을 잘 사용 사는 사람이라면 기존의 통신사를 유지하고 그렇지 않다면 알뜰폰으로 바꾸는 것이 좋다.

 


 지금까지 알뜰폰의 단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어떤 것을 선택하든 정답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가격비교를 잘해보고 자신에게 더 적합한 상품을 사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지금까지 포스팅을 잘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댓글